검은 토끼의 해 2023년입니다!
12 간지 순서로 4번째, '묘'에 해당하죠.
저와 같은 8090 세대라면 '꾸러기 수비대'라는 만화를 아실 텐데요 :)

이 만화 오프닝 곡에도 12 간지 순서가 나옵니다.
"똘기 떵이 호치 새초미 자축인묘 드라곤 요롱이 마초 미미 진사오미 뭉치 키키 강다리 찡찡이
신유술해 우리끼리 꾸러기 꾸러기 우리는 열두 동물
[꾸러기 수비대 오프닝 中] "
우리는 가끔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무슨 띠인지 물어보고 나이를 유추하지요.
그런데 왜 띠라는 개념에 동물이 쓰이기 시작한 것일까요?
그리고 12간지 순서는 어떻게 정해진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
.
.
.
<12지신이란?>
12 지신이란 땅을 지키는 십이신장 또는 십이신왕을 말합니다.
세상의 모든 잡귀를 몰아내고 마을을 수호한다고 하죠.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라고 부릅니다.
꾸러기 수비대에서 나온 것처럼 총 12마리의 동물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입니다.
12마리의 동물들이 달리기 경주를 했는데, 들어온 순서대로 순위를 매겼다는 이야기도 있지요.
소가 1등으로 달리고 있었는데 소의 몸에 몰래 숨어있던 쥐가
결승선 앞에서 약삭빠르게 먼저 달려 나가서 1등을 했다는 이야기..

기억하시나요? ㅎㅎ :)
.
.
.
<십이간지의 유래>
십이간지는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이야기입니다.
옛날 서양에서 황도 12궁이라는 개념을 가져왔고 계절에 따른 별자리를 표시해야 했습니다.
중국에서 12가지 띠를 활용하여 별자리를 동물로 대신해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각각의 시간대에 얽힌 이야기도 있습니다.
자시(23시-01시) 부와 풍요를 상징하는 쥐는 야행성이므로 이 시간대에 가장 활발하죠.
축시(01시~03시) 인내심과 온순함의 상징인 소는 고집과 강단이 있습니다.
또한 축시는 소가 아침 밭갈이를 준비하는 시간이지요.
인시(03시~05시) 산왕, 호걸 등 용맹함을 나타내는 호랑이는 산신령으로 자주 묘사되기도 합니다.
호랑이가 잠에서 깨어나 포효하는 모습을 떠올려 호랑이가 화를 물리치는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묘시(05시~07시) 지혜와 영리함을 상징하는 토끼를 상징하는 묘시는
해가 서서히 뜨는 아침 시간입니다.
진시(07시~09시) 용은 구름 속을 거닐며 사라지는 신비로움이 있습니다.
풍년과 흉년을 좌지우지하는 상상 속의 동물이지요.
사시(09시-11시) 선악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뱀은 체온을 올리기 위해
이 시간대쯤부터 활동을 한다고 해요.
오시(11시~13시) 말은 강인함을 상징하며 병을 물리친다고 알려져 있어요.
또한 강한 양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간에 양기를 가진 말로 보완을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미시(13시~15시) 선함을 상징하는 양이 풀을 먹었던 자리에
풀이 다시 나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생명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시(15시~17시) 원숭이가 집으로 돌아가는 시간이 신시입니다.
잔재주가 많고 영리한 원숭이는 가끔 나무에서 떨어지기도 하지요. 허술함이 있습니다.
유시(17시~19시) 닭들이 둥지로 돌아가는 시간입니다.
닭은 출세를 상징하고 고집스러움도 있습니다.
술시(19시~21시) 개는 어두운 밤에도 주인을 지켜야 합니다. 우직하고 충성스러운 동물이죠.
날이 어두워지면 개의 시간입니다.
해시(21시~23시) 이 시간은 돼지도 단잠을 자는 시간입니다.
돼지는 게으름의 상징이며 복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12 간지의 순서와 시간에 얽힌 이야기를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은 어떤 띠인가요? 그리고 몇 시에 태어나셨을까요?
궁금합니다 :)
'여러가지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영 노래검색, 노래방에서 쉽고 빠르게 찾아 인싸되기! (0) | 2023.02.23 |
---|---|
구글 번역기, 해외여행 가기 전 꼭 확인하세요 (0) | 2023.02.21 |
실업급여조건 빠르게 확인해보기! (0) | 2023.02.18 |
2023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하기 쉽고 간단하게 (0) | 2023.02.12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1급 고득점 단기간에 딸 수 있었던 이유 (0) | 2023.02.04 |